맨위로가기

수호랑과 반다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호랑과 반다비는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마스코트이다. 수호랑은 흰 호랑이, 반다비는 반달가슴곰을 모티브로 제작되었으며, 올림픽과 패럴림픽의 정신을 상징한다. 마스코트 선정 과정에서 진돗개로 변경하려 했으나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반대로 무산된 논란이 있었다. 대회 이후에는 강원도의 새로운 마스코트인 범이와 곰이로 파생되어 사용되었고,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마스코트 뭉초로 이어졌다. 수호랑과 반다비는 대중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마스코트 - 호돌이
    호돌이는 김현이 디자인하여 한국 호랑이를 친근하게 형상화하고 서울 올림픽을 상징하는 상모와 'S'자를 표현한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로서, 큰 인기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IOC에 권리가 귀속되었고 1986년 아시안 게임 마스코트이자 수호랑에게 영향을 주었다.
  • 호랑이 마스코트 - 호돌이
    호돌이는 김현이 디자인하여 한국 호랑이를 친근하게 형상화하고 서울 올림픽을 상징하는 상모와 'S'자를 표현한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로서, 큰 인기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IOC에 권리가 귀속되었고 1986년 아시안 게임 마스코트이자 수호랑에게 영향을 주었다.
  • 2018년 동계 패럴림픽에 관한 - 평창군
    평창군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중남부에 위치하며, 84%가 산악 지형인 고랭지대로 밭농사와 고랭지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온난하계 습윤 기후를 보이며, 동계 올림픽 등 주요 국제 스포츠 대회를 개최한 곳이다.
  • 2018년 동계 패럴림픽에 관한 - 2018년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
    2018년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은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대한민국 휠체어 합창단이 애국가를 부르고 서울시립교향악단이 패럴림픽 찬가를 연주했다.
수호랑과 반다비
개요
수호랑과 반다비
수호랑 (왼쪽), 올림픽 마스코트, 반다비 (오른쪽), 패럴림픽 마스코트
종류흰 호랑이, 아시아반달가슴곰
관련 행사2018년 동계 올림픽
2018년 동계 패럴림픽
이름 정보
한국어수호랑 과 반다비
로마자 표기Suhorang gwa Bandabi
영어Soohorang and Bandabi
수호랑
상징흰 호랑이
의미올림픽 정신인 도전 정신과 열정을 상징
반다비
상징아시아반달가슴곰
의미패럴림픽 정신인 용기와 강한 의지를 상징

2. 제작

첫 올림픽 마스코트는 1968년 프랑스 그르노블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서 스키를 타는 사람 모습을 형상화한 슈스(Schussde)였다. 이후 공식적으로 마스코트를 도입한 올림픽은 1972년 뮌헨 하계 올림픽이었으며, 닥스훈트 발디(Waldide)였다.[19] 서울 올림픽에서는 호랑이를 모티브로 한 호돌이가 마스코트로 쓰였다.[19]

2011년 7월 평창이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된 후 인터넷에서는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의 뽀로로를 마스코트로 삼자는 의견이 인기를 얻고 서명운동이 일기도 했다.[20][21] 이에 애니메이션 제작사 대표 최종일은 올림픽이 끝나면 마스코트 저작권이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귀속된다는 점을 들어 뽀로로가 마스코트가 되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전했으나, "어떤 방법이든 평창올림픽을 돕고 싶다"고 언급했다.[22]

이후의 자세한 과정은 "마스코트 선정 과정 논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2. 1. 마스코트 선정 과정 논란

평창 동계 올림픽 대회 및 동계 패럴림픽 대회 조직위원회는 2014년 6월 27일 마스코트 아이디어 공모를 진행한다고 발표하고,[23] 같은 해 10월 마스코트 개발 전문업체를 선정하여 마스코트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23] 2015년 초에는 12월까지 마스코트를 완성하겠다는 방침을 공개하였다.[24] 2016년 3월 초, 마스코트 개발이 90% 정도 완료되었다고 보도되었으나,[25] 3월 중순 본회의 기자회견에서 조양호 당시 위원장은 IOC와 아직 합의된 사항이 없어 세부 사항을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26] 2016년 5월 20일, 백호와 곰으로 마스코트가 선정되었다는 사실이 공개되었다.[27] 2016년 6월 2일, 조직위는 평창 동계 올림픽 및 동계 패럴림픽 마스코트로 수호랑과 반다비를 최종 공개하였다.[28]

2018년 동계 올림픽 및 동계 패럴림픽의 마스코트로 사용될 예정이었던 호랑이와 까치


당초 올림픽 마스코트 후보로는 진돗개, 사슴, 두루미, 까치, 하늘다람쥐, 삽살개 등이 있었으며,[29][30] 민화의 주요 소재였던 까치와 호랑이가 채택되었다. 그러나 박근혜 당시 대통령은 김종덕 당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자신이 키우던 반려동물인 진돗개로 마스코트를 교체하라고 지시했다.[31] 김종덕과 조양호는 진돗개 사용을 위해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본부가 있는 스위스를 방문했으나, IOC 위원장 토마스 바흐는 한국의 개고기 문화를 이유로 진돗개가 적합하지 않다고 불허하였다.[32] 조직위 관계자는 청와대 관계자의 "마스코트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발표 시기가 늦어졌다"는 해명에 대해 "애초부터 호랑이를 선정했다면 아무 문제가 없었을 것"이라고 답변하였다.[33]

3. 마스코트

2018년 동계 올림픽의 마스코트 수호랑은 백호를, 2018년 동계 패럴림픽의 마스코트 반다비는 반달가슴곰을 모티프로 하였다. 호랑이와 곰은 대한민국강원도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단군신화를 토대로 호랑이는 새로운 세계를 찾는 열정, 곰은 목표를 이루는 끈기를 가진 존재로 설정되어 올림픽 정신을 표현한다.[38]

수호랑은 1988년 하계 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호랑이를 사용했으며, 동계 올림픽의 '하얀 눈' 이미지를 위해 흰 호랑이가 선택되었다. 흰색은 백의민족과 평화를 상징한다.[35] '수호'는 올림픽 참가자 보호, '랑'은 호랑이와 정선아리랑을 의미한다.[36]

반다비는 1988년 하계 패럴림픽 마스코트 곰두리와 연관되며,[9] '반다'는 반달, '비'는 (碑)를 뜻한다.[36] 강한 의지와 용기로 평등과 화합에 앞장서며, 패럴림픽 선수들의 한계 극복을 응원하는 성격을 지닌다.[36]

3. 1. 수호랑

백호를 모티프로 한 2018년 동계 올림픽의 마스코트이다. 호돌이의 연속성을 지키면서 민속 신앙에서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였던 신성함을 강조하기 위해 호랑이가 사용되었으며,[34] 호돌이와는 달리 동계 올림픽의 '하얀 눈'이라는 이미지를 고려해 흰 호랑이가 되었다. 이외에도 흰색은 백의민족, 그리고 평화를 상징한다.[35] '수호'는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 참가자, 관중들을 보호한다는 의미이며, '랑'은 호랑이와 강원도의 정선아리랑을 상징한다. 도전 정신과 열정이 넘치며 씩씩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묘사된다.[36]

반달가슴곰과 함께 대한민국과 강원도를 상징하는 동물을 고른 것이다. 또한 단군신화의 이야기를 토대로 호랑이는 새로운 세계를 찾기 위해 움직이는 열정을 가졌고 곰은 목표한 바를 이루어내는 끈기를 가진 존재라는 설정으로 하여금 올림픽 정신을 표현한 것이다.[38]

수호랑은 한국의 신성한 수호 동물로 여겨지는 백호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수호랑의 색깔은 겨울 스포츠의 눈과 얼음을 나타낸다.

호랑이는 오랫동안 한국의 민속과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백호는 신화와 설화에서 산과 자연을 지키는 신성한 상상의 동물로 묘사된다. 번영과 보호의 문화적 상징인 백호는 한국 민속에서 마을의 평화와 안녕을 기원하며 인류를 돌보는 신으로 숭배받는 한편, 1988년 하계 올림픽의 마스코트였던 호돌이의 맥을 잇고 있다. 백호는 "눈 덮인 하얀 들판"에서 열리는 동계 올림픽과 조화를 이룬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수호자를 상징하는 백호 캐릭터로, '수호'의 수호|수호한국어와 호랑이의 호랑이|호랑이한국어평창이 있는 강원도의 민요 「정선아리랑」(정선아리랑|정선아리랑한국어)에서 따온 "랑"을 합쳐 "수호랑"이 되었다.

3. 2. 반다비

반다비는 반달가슴곰을 형상화한 2018년 동계 패럴림픽의 마스코트이다.[6][7] '반다'는 반달을 의미하며, '비'는 대회를 기념하는 (碑)를 뜻한다.[36] 반다비는 강한 의지와 용기를 가지고 있으며, 평등과 화합을 이끌어내는 데 앞장선다. 또한 패럴림픽 선수들이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뜨거운 열정으로 응원하는 따뜻한 마음을 가진 친구로 묘사된다.[36][6] 초기 디자인에서는 눈동자가 가운데에 위치했지만, 무섭다는 의견이 있어 왼쪽을 바라보는 형태로 수정되었다.[37]

반달가슴곰은 대한민국과 강원도를 상징하는 동물로, 단군신화에서 곰은 목표를 이루는 끈기를 가진 존재로 나타난다. 이는 올림픽 정신과도 연결된다.[38] 반다비는 1988년 서울 하계 패럴림픽의 마스코트였던 곰두리와도 연관성을 가진다.[9] 한국어로 반달가슴곰(반달가슴곰|bandalgaseumgom한국어)은 "가슴에 반달 모양이 있는 곰"을 뜻하며, '반달'과 대회를 기념하는 '비'(비|bi한국어)가 합쳐져 "반다비"가 되었다.

3. 3. 상징성

수호랑은 백호를, 반다비는 반달가슴곰을 모티프로 한 마스코트이다. 호랑이와 반달가슴곰은 대한민국과 강원도를 상징하는 동물이면서, 단군신화에서 호랑이는 새로운 세계를 찾기 위해 움직이는 열정을, 곰은 목표한 바를 이루어내는 끈기를 가진 존재로 설정되어 올림픽 정신을 표현한다.[38]

수호랑은 1988년 하계 올림픽의 마스코트였던 호돌이의 연속성을 지키면서, 민속 신앙에서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는 신성함을 강조하기 위해 호랑이가 사용되었다.[34] 특히 동계 올림픽의 '하얀 눈'이라는 이미지를 고려하여 흰 호랑이가 되었으며, 흰색은 백의민족과 평화를 상징한다.[35] '수호'는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 참가자, 관중들을 보호한다는 의미이며, '랑'은 호랑이와 강원도의 정선아리랑을 상징한다.[36] 도전 정신과 열정이 넘치며 씩씩한 성격을 지녔다고 묘사된다.[36]

반다비는 1988년 하계 패럴림픽의 마스코트였던 곰두리와 연관성을 가진다.[9] '반다'는 반달을 의미하며, '비'는 대회를 기념하는 (碑)의 뜻을 담고 있다.[36] 강한 의지와 용기를 가지고 평등과 화합에도 앞장서며, 패럴림픽 선수들이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열정을 응원하는 성격이 있다고 표현된다.[36] 초기 디자인에는 눈동자가 가운데에 있었으나 무서워 보인다는 반응이 있어 왼쪽을 보는 형태로 변경되었다.[37]

4. 홍보 및 사용

수호랑과 반다비는 이름이 늦게 확정되어 마스코트 사용 협의 지연 및 수입 사업에 피해를 입었다.[39][40][41][42]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2016년 하계 올림픽 코파카바나 해변의 평창 홍보관에서 마스코트로 사용되었으며,[43] 홍보관에는 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 동안 총 23만여 명이 방문하였다.[44] 코르코바두 구세주 그리스도상 앞에서 찍은 사진을 SNS에 올리는 등 인터넷 홍보도 진행되었다.[45] 10월 말에는 마스코트 애니메이션이,[46] 이듬해 2월과 3월에는 "올림픽 챔피언 수호랑"과 "패럴림픽 챔피언 반다비" 애니메이션이 공개되었다.[45][47]

2018년 동계 올림픽·패럴림픽 시상식에서는 어사화를 쓴 수호랑과 반다비 인형이 증정되었고, KEB하나은행은 수호랑과 반다비가 그려진 통장을, 우리카드는 수호랑이 그려진 카드를 출시했다.

카카오톡에서 수호랑과 반다비 애니메이션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다.[3]

4. 1. 파생 캐릭터

2018년 동계 올림픽2018년 동계 패럴림픽 폐막 이후, 강원도는 수호랑과 반다비를 강원도의 새로운 마스코트로 사용하려 했으나,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와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들 위원회는 올림픽·패럴림픽 마스코트의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었다.[48][49][50] 이에 강원도는 2019년 9월 15일, 수호랑의 2세 캐릭터 '범이'와 반다비의 2세 캐릭터 '곰이'를 강원도의 새로운 마스코트로 선정했다.[48][49][50] 2021년 10월에는 범이와 곰이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이 개설되었다.[51]

2022년 11월,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을 앞두고 강원도청 SNS에 새로운 캐릭터 이름 공모전 게시물이 올라왔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허영 국회의원은 이를 "최문순 전 강원도지사의 도정 지우기"라고 비판했다.[52]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IOC가 '범이와 곰이'가 올림픽 마스코트 지식 재산권 침해에 해당하며,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소지가 있다며 대한체육회와 강원도청에 사용 중단을 요구했다"고 해명했다.[53][54] 강원도청은 《강원도 상징물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입법 예고하고, 호랑이 캐릭터는 '강원이', 반달가슴곰 캐릭터는 '특별이'로 명명했다. 강원이와 특별이는 2023년 6월 11일 강원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사용되었다.[55]

2023년 1월 20일,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공식 마스코트 '뭉초(Moongcho)'가 공개되었다. 대학생 박수연이 디자인한 뭉초는 '뭉치다'라는 한국어 단어에서 이름을 따왔다. 뭉초는 수호랑과 반다비가 눈싸움을 하며 가지고 놀던 눈뭉치가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을 앞두고 수호랑과 반다비의 스포츠 정신을 이어받은 캐릭터로 탄생했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고글과 목도리를 착용한 뭉초는 동계 올림픽 참가 선수들처럼 대회를 준비하는 청소년들의 모습을 관찰한다는 설정이다.[58]

5. 반응

수호랑과 반다비의 이름을 정하는 데 2천여 개의 후보가 있었지만,[39] 제작이 늦어지면서 공개일로부터 10일 전까지도 이름이 확정되지 않았다.[40] 이 때문에 조직위와 마스코트 사용에 대한 협의가 지연되었고,[41] 마스코트를 활용한 수입 사업에 피해를 입었다.[42]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 코파카바나 해변에 개관된 평창 홍보관에서 마스코트로 사용되었다.[43] 홍보관에는 올림픽 기간에 15만 2000명, 패럴림픽 기간에 7만 8000여 명이 방문하였다.[44] 그리고 코르코바두구세주 그리스도상 앞에서 찍은 사진을 SNS에 올리며 인터넷에서의 홍보를 시작하였다.[45] 10월 말에는 마스코트 애니메이션을 선보였고,[46] 이듬해 2월과 3월에는 각각 "올림픽 챔피언 수호랑"과 "패럴림픽 챔피언 반다비"라는 제목의 애니메이션을 공개하였다.[45][47]

2018년 동계 올림픽·패럴림픽 시상식에서 메달리스트에게 어사화를 쓴 수호랑과 반다비 인형이 시상품으로 증정되었다. KEB하나은행에서는 수호랑과 반다비가 그려진 하나된평창통장을 출시하기도 했다. 우리카드에서도 수호랑이 그려진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한정적으로 출시한 바 있다.

수호랑과 반다비에 대한 대중의 반응은 압도적으로 긍정적이라고 묘사되었다. 스포츠 뉴스 웹사이트 데드스핀의 작가 한나 키서에 따르면, 이 마스코트들은 올림픽 기간 동안 "어디에나" 있었으며, "놀랍게도 보편적으로 사랑받았다".[10] 데드스핀의 또 다른 작가 댄 맥퀘이드는 미라이토와와 소메이티가 수호랑과 반다비의 인기를 따라잡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10]

6. 사진

반다비

  • -|]]
  • -|]]
  • -|]]
  • -|]]

참조

[1] 웹사이트 The Official Mascots for PyeongChang 2018 https://www.pyeongch[...] 2017-05-30
[2] 동영상 PyeongChang 2018 First Episode of Mascot Animation Video https://www.youtube.[...] YouTube 2017-05-30
[3] 웹사이트 PyeongChang 2018 Mascots Emoticonized in Free Texting Service https://web.archive.[...] 2016-09-22
[4] 웹사이트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마스코트 아이디어 공모 https://web.archive.[...] 2016-08-11
[5] 뉴스 Meet "Soohorang," the New Mascot for PyeongChang 2018 https://www.olympic.[...] 2016-09-22
[6] 웹사이트 마스코트 {{!}}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https://web.archive.[...] 2018-03-24
[7] 뉴스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는 백호(白虎) '수호랑' http://sports.naver.[...] 2018-03-24
[8] 뉴스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 백호 형상화한 '수호랑' 확정 http://sports.naver.[...] 2018-03-24
[9] 뉴스 [카드뉴스] 올림픽의 얼굴, 마스코트에 숨은 비밀 http://news.naver.co[...] 2018-03-24
[10] 웹사이트 Will Japan's Olympic Mascot Be A Soohorang Or An Izzy? https://deadspin.com[...] Gizmodo Media Group 2018-02-28
[11] 웹사이트 平昌五輪のマスコット決定 韓国象徴する白虎とクマ https://www.joc.or.j[...]
[12] 뉴스 平昌冬季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の公式マスコット決定 http://www.wowkorea.[...] 2016-11-01
[13] 웹사이트 平昌に冬季五輪マスコット初登場 2018年開催 https://www.joc.or.j[...]
[14] 뉴스 平昌五輪マスコット「スホラン」、リオのイエス・キリスト像前で広報活動 http://www.wowkorea.[...] 2016-11-01
[15] 뉴스 韓国・平昌五輪がピンチ!準備遅れの原因は“朴大統領友人の介入”=韓国ネット「五輪開催が延期に?」「韓国のイメージを失墜させる大会になる」 https://www.recordch[...] 2016-11-01
[16] 웹인용 마스코트 소개 https://web.archive.[...] 2016-06-04
[17] 뉴스인용 “토끼는 무슨, 호랑이야” … 수호랑 아빠 호돌이 탄생 비밀은 http://www.joongang.[...] 2018-01-02
[18] 뉴스인용 평창 올림픽 '수호랑'과 88 올림픽 '호돌이'의 관계는? http://www.joongang.[...] 2018-01-02
[19] 뉴스인용 [스잘알]호돌이부터 수호랑까지…올림픽 마스코트 이야기 https://newsis.com/v[...] 2022-02-18
[20] 뉴스인용 ‘뽀통령’ 뽀로로, 이번엔 평창 ‘뽀스코트’ 도전? https://nownews.seou[...] 2022-02-18
[21] 뉴스인용 "'뽀로로'를 평창 마스코트로 하자" 서명운동까지, '눈길' http://news.imaeil.c[...] 2022-02-18
[22] 뉴스인용 [CEO lounge] 뽀로로, 평창동계올림픽 측면지원 하겠다 https://www.mk.co.kr[...] 2022-02-18
[23] 뉴스인용 2018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 아이디어 공모 https://www.news1.kr[...] 2022-02-18
[24] 뉴스인용 평창조직위, 내년초 알파인 경기장 등 테스트 이벤트 https://news.sbs.co.[...] SBS 2022-02-18
[25] 뉴스인용 [취재파일] 평창올림픽 마스코트 6월 초 발표, 반달곰? https://news.sbs.co.[...] SBS 2022-02-18
[26] 뉴스인용 IOC 조정위원장 “슬라이딩 센터 빙상 트랙 문제 큰 이슈 아냐” http://www.segye.com[...] 2022-02-18
[27] 뉴스인용 [단독] 평창 동계올림픽 마스코트는 백호(흰 호랑이) https://news.sbs.co.[...] SBS 2022-02-18
[28] 뉴스인용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마스코트, '수호랑' '반다비' 확정 https://www.edaily.c[...] 2022-02-18
[29] 뉴스인용 [올림픽] "수호랑, 사슴·삽살개·진돗개 등 경쟁 뚫고 낙점" https://www.yna.co.k[...] 2022-02-19
[30] 뉴스인용 평창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과 '반다비' 만든 이희곤 매스씨앤지 대표 https://www.hankyung[...] 2022-02-19
[31] 뉴스인용 [단독] "개로 바꿔라" 대통령 말에…마스코트 급조 https://news.sbs.co.[...] SBS 2022-02-18
[32] 뉴스인용 [싱크로드] 수호랑과 반다비 https://www.mk.co.kr[...] 2022-02-18
[33] 뉴스인용 “김종덕 前문체부 장관, 평창 마스코트로 진돗개 고집” https://www.donga.co[...] 2022-02-18
[34] 뉴스인용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는 백호(白虎) '수호랑' https://www.yna.co.k[...] 2022-02-18
[35] 뉴스인용 [단독] 평창 동계올림픽 마스코트는 백호(흰 호랑이) https://news.sbs.co.[...] SBS 2022-02-18
[36] 웹인용 마스코트 http://www.pyeongcha[...] 국제 올림픽 위원회
[37] 뉴스 반다비 눈동자 왼쪽으로 치우친 진짜 이유 한국일보 2022-02-19
[38] 뉴스 [출동! 어린이기자] “단군신화를 마스코트에” 수호랑·반다비 아빠 만나다 어린이동아 2022-02-19
[39] 뉴스 "수호랑, 처음에는 이렇게 큰 사랑 받을 줄 몰랐어요" 서울경제 2022-02-19
[40] 뉴스 [단독] "개로 바꿔라" 대통령 말에…마스코트 급조 SBS 2022-02-18
[41] 뉴스 평창 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반다비' 어디 갔지? SBS 2022-02-19
[42] 뉴스 [리포트+] 대통령 한 마디에 급조·표절?…'정부 디자인' 수난사 SBS 2022-02-19
[43] 뉴스 브라질 리우 코파카바나 해변서 문 연 '평창동계올림픽' 홍보관 머니투데이 2022-02-19
[44] 뉴스 "따봉, 평창!" 2018 동계올림픽 리우 홍보관, 운영 종료 노컷뉴스 2022-02-19
[45] 뉴스 <올림픽> 평창 마스코트 수호랑, 리우에서 '평창 알리기 스타트!' 연합뉴스 2022-02-19
[46] 뉴스 평창조직위, 올림픽 마스코트 애니메이션 공개 연합뉴스 2022-02-19
[47] 뉴스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와 함께하는 평창패럴림픽 아시아경제 2022-02-19
[48] 뉴스 평창올림픽 '수호랑, 반다비' 강원도 캐릭터로 재탄생 노컷뉴스 2020-03-17
[49] 뉴스 평창올림픽 상징 ‘수호랑·반다비 2세’가 태어났어요 한겨레 2020-03-17
[50] 뉴스 “너희 뭐 했어?” 어제 수호랑·반다비가 '자식'을 낳아버린 이유 위키트리 2020-03-17
[51] 뉴스 강원도 캐릭터 범이·곰이 인스타그램 본격 운영 소통 확대 https://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23-06-22
[52] 뉴스 허영, ‘범이·곰이’ 퇴출 의혹 제기…“김진태 지사 이해할 수 없어“ https://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23-06-22
[53] 뉴스 IOC "강원도 캐릭터 범이&곰이 사용중단"… 저작권 침해 주장 https://segye.com/vi[...] 세계일보 2023-06-22
[54] 뉴스 강원도 대표 캐릭터 '범이 곰이' 교체 놓고 갑론을박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3-06-22
[55] 뉴스 강원특별자치도 캐릭터 ‘ 강원이·특별이’ 잠정 결정 https://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23-06-22
[56] 뉴스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 마스코트 '뭉초' 공개 https://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23-07-19
[57] 뉴스 평창서 ‘윈터 코리아 페스티벌’ 2024대회 서막 올랐다 https://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23-07-19
[58] 웹인용 마스코트 {{!}} 강원 2024 https://olympics.com[...] 2023-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